상품명 | 밤(분) |
---|---|
과명 | 참나무과 |
학명 | Castanea crenata Siebold &Zucc |
특이사항 | * 천연의 영양식품 * 식재거리 : 6m*3m(5평당 1주) |
현재페이지에서의 네이버페이구매시 개별상품만 가능합니다.
여러 상품을 네이버페이로 구매하실 경우 선택상품을 장바구니로 옮기신 후 네이버페이를 이용해주세요~
▶ 병 해
우리나라 밤나무에 발생하는 병해로는 20여종이 기록되어 있으며, 이중 가지 및 줄기에 마름증상을 일으키는 병원균으로는 Botryosphaeria, Cryptodiaporthe, Endothia, Diaporthe, Psedovasella 등이 보고되어 있고, 이중 Cryphonectria parasitica는 국내외에서 밤나무를 고사시키는 주요 병원균으로 알려져 있다.
밤나무 재배시 가장 문제가 되는 병해인 밤나무 줄기마름병은 1904년 미국 뉴욕의 브롱크스에 있는 뉴욕동물원에서 처음 발견된 후, 급속히 전파되어 1940년까지 캐나다 남쪽으로부터 멕시코만에 이르는 미국 동부지역 미국밤나무 숲을 거의 황폐화시켰으며, 유럽으로 전파되어 많은 피해를 주었다. 또한 밤나무 줄기마름병과 같이 고사율이 높은 역병은 아직 우리나라에서 많이 보고되지는 않았지만 밤나무 재배단지에서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할 병해이다.
밤송이 종실에 발병하여 과실부패와 조기낙과를 일으키는 종실탄저병, 잎 표면에 발병되어 과실의 발육과 밤나무 수세에 영향을 미치는 흰가루병 등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밤나무 병해 전반에 대해 병원균의 분포, 생리, 생태 등의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므로 병해방제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와 연구 활동이 요구된다.
▶ 충 해
우리 나라 밤나무 해충방제는 1900년대초 일본인들에 의해서 밤이 식재되면서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당시에는 진딧물류, 깍지벌레류에 대한 제충국제, 비산연, 기계유유제 같은 농약이 주로 사용되었고 1960년대부터 집단적으로 밤 재배지가 조성되면서 유기합성농약인 DDT, 디코폴, 폴리돌, 디메톤에스메칠(메타시스톡스) 등 새로운 약제를 통하여 방제 효과를 높일 수 있었다.
이러한 농약의 계속적인 사용으로 인하여 응애류가 타 과수에서 다 발생한 경향이 보고된 바 있고, 1960년 이후에도 유기염소계 농약이 주요 방제수단으로 사용되면서 농약사용 횟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농약의 저항성 문제를 야기시켰고 잠재해충이 문제해충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로 인해 1970년대 후반부터 농약 사용의 자제와 생물적 방제의 중요성이 부각되었으나 실제 우리 나라 밤나무에서는 뚜렷한 성과는 얻지 못하였다.
한편, 밤이 주요 소득작물로 부각되고 수출물량이 늘어나면서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방제수단으로 1983년부터 항공방제를 산림청의 지원 하에 전국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나 적기방제가 어려워 본래의 해충구제 효과보다는 천적의 감소로 방제효과가 의문시되고 있다. 최근 1990년초부터 밤나무가 과수화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항공방제에 의존하던 해충방제에서 벗어나 과학적이고 종합적인 방제방법을 강구하는데 노력을 기울이기 시작하여 1990년 후반부터 자가방제의 비율이 높아지기 시작하였고 적기적소 방제로 농약의 사용을 최대한 줄이면서 임업적 방제와 생물적 방제의 기술을 도입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1990년 후반부터 생물적 방제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여 주요 종실해충인 복숭아명나방의 성페로몬을 이용한 예찰 및 방제법이 소개되어 일부 시행되고 있으며 밤바구미의 유인제 개발에 대한 노력도 아끼지 않았고, 특히 1970년대까지 문제되었던 밤나무혹벌에 대한 천적의 이용법이 새롭게 추진중이다.
♣ 시비방법
밤나무에 시비할 때 식재당시 식혈에 직접 시비하는 식재시 시비방법과 식재한 후에 추비형식으로 시비하는 식재후 시비방법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1) 식재시 시비
◎ 식혈 하단부 시비법
식혈 하단부에 표토와 비료를 섞어서 기비로 시용하는 방법이다. 유묘 식재시에 시용하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퇴비와 같은 유기질 비료를 시용하여야 한다. 화학비료는 임목이 흡수하기 전에 용탈로 인하여 비료성분이 유실되기 때문이다. 또한 유기질비료와 같은 지효성 비료라 할지라도 식혈 깊이를 1m내외로 깊이 파고 식혈 하단부 시비를 하는 것은 비경제적이며 이상적인 시비방법이 못 된다. 임목이 뿌리에서 비료를 흡수 이용하는 것은 100년생 임목이나 5년생 유목이나 주로 토심 30cm 내외의 표토에서 세근의 뿌리털에 의하여 양분을 흡수 이용하기 때문이다.
◎ 식혈 혼합 시비법
식재당시에 식혈내의 흙과 혼합하면서 식재하는 것으로 일반 화학비료를 사용하면 해를 입게 되어 나무가 고사하게 된다. 그러므로 완숙퇴비 등을 흙과 잘 섞어서 식재하거나 입상비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식혈 혼합 시비법은 화학비료를 사용해서는 안된다. 화학비료가 뿌리에 닿으면 토양 중의 염류농도가 높아 임목의 수분이 탈취될 뿐만 아니라 접촉된 뿌리가 썩거나 고사하기 때문이다.
◎ 뿌리 상부 시비법
토양이 비교적 비옥하고 배수가 양호한 임지에서는 충분한 크기로 식혈한 다음 표토를 넣고 나무를 약간 깊게 심은 다음 흙을 80% 정도로 채우고 뿌리 위에 비료를 시용하되 평탄지나 완경사지에서는 환상으로 시용하고 경사지 위에서는 식재목의 경사지형 상방으로 반원형 또는 반월형으로 시비하고 완전히 식재하는 방법이다. 이 시비법의 원리는 식재목이 활착하는 동안에 뿌리 위의 비료가 토양에 서서히 흡착되어 활착된 뿌리에 흡수 이용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즉 활착된 후에 시비할 것을 식재시에 시비하는 이상적인 방법이다.
◎ 식혈 시비법
전술한 식재시 시비방법의 장점을 취하여 종합한 밤나무 식재시비 요령은 다음과 같다. 단 이때 식혈의 깊이는 70cm이상이면 충분하며 최대한 식재깊이는 90cm로 한다. 70cm이상 깊이 파는 것보다는 나무가 자람에 따라 식혈폭을 옆으로 넓게 파는 것이 여러 가지로 유리할 것이다.
·밤나무 접목묘를 식재하기 위한 식혈(깊이 90cm, 폭 90cm)
·성숙표토를 식혈내에 반입
·퇴비, 유기질비료 및 복비를 혼합해서 토심 70cm 부위에 환상으로 시비
·다시 성숙토를 더 넣고 퇴비, 유기질비료 및 복비를 혼합해서 환상으로 시비하는 것을 2∼3회 반복하고 밤나무를 7∼80%
정도 로 식재
·성숙표토를 식혈의 90% 정도로 채우고 잘 밟고 퇴비, 닭똥 등 유기질비료와 복비를 혼합하여 환상으로 시비
· 흙을 넣고 다시 잘 밟은 다음 복비만을 넣고 완전 식재한 후 짚이나 풀 등을 덮어준다. 단, 건조지에서는 1m2의 비닐을 덮어주면 건조를 방지하게 되므로 비효가 빠름(잡초 발생 억제 효과)
(2) 식재후 시비방법
식재시 식혈에 시비하는 것은 어느 수종이건 이식하지 않는 한 1회만 시용하나 식재후의 시비는 활착된 나무에서 벌채 전까지 시비할 수 있으며 유실수에서는 고사할 때까지 시비할 수 있다. 다만 임목생장이 목적일 때는 영양생장에 필요한 양분을 공급해야 하며 과실을 목적으로 할 때는 생식생장 위주로 양료를 공급해 주어야 하는 차이가 있을 뿐이다.
♣ 시비시기
밤나무의 시비는 주로 춘비를 하고 있으나 집약재배시에는 춘비(2∼3월말), 하비(7월 상순), 추비(9월말), 동비(11∼12월초) 등으로 실시하며 시비시기, 비종과 양이 밤의 보속생산을 크게 좌우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밤나무 재배시 시비는 식혈시비 방법에 의하여 봄에 시용하는 것이 원칙이며 그 후는 추비의 형식으로 하비, 추비, 동비를 실시한다.
춘비는 해빙이후에 시비하는 것이 원칙이며 늦어도 4월말까지는 실시하여야 한다. 대상 토양의 성질을 잘 파악하여서 시비량과 비종을 적당히 선택하면 춘비만으로도 충분히 시비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하비는 속효성 화학비료로서 7월초에 시용하여야 하며 우리 나라는 7∼8월에 장마가 심하므로 사질토양와 같이 용탈이 심하여 토양에 양료가 부족할 경우와 착과된 구과와 밤나무의 양분부족 현상이 생겨 발육이 불량할 때 시용하는 것이다. 하비의 최적기는 구과가 성숙하기 40일전에 질소와 가리의 비를 1:3으로 혼합하여 시용한다. 지효성 비료를 하비로 시용하면 밤나무가 늦가을까지 생장하여 동해의 염려가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출처 : 국립산림과학원
접목한 묘목의 경우 접목부위 비닐을 제거하고 일부 뿌리가 너무 긴 경우는 끝쪽을 잘라주어서 식재가 용이하도록 정리한다. 뿌리크기에 맞게 구덩이을 파 놓는다.
묘목을 식재 후 안쪽까지 물이 충분이 들어가서 흙이 가라 앉을 만큼 주어야 한다. 물을 주는 목적도 수분흡수를 위한 목적보다 안쪽의 빈 공간을 없애기 위한 목적이 더 크다. 특히 봄 식재의 경우 이후 비가 오지 않는다면 땅의 상태를 확인하여 최소한 한달동안 일주일에 한번 이상 물을 주어야 활착율을 높일 수 있다. 관수를 잘 하는가가 활착율에 가능 중요하므로 장마시작전까지 관수에 특히 신경을 써야한다.
4월 ~ 9월 | 제초작업, 병충해방제(3~6회 정도) |
---|---|
4월 ~ 6월 | 2회~3회 비료 시비 |
6월 ~ 7월 | 장마철 배수정비 |
12월 ~ 3월 | 유기물 퇴비 살포, 전지작업 |
시기 | 내용 | 비고 |
---|---|---|
춘기 가지치기(4-5월) | 상록수 적기, 화목의 꽃이 진 후 생장억제, 눈따기 ,적심 등 | 정기 1회 |
하기 가지치기(6-8월) | 생육조성, 수형정비, 솎음가지치기, 도장지 제거, 가지길 이 줄이기 등 | 정기 1회 |
추기 가지치기(9-10월) | 상록수-고사지 가지치기, 수형정비낙엽수-동기가지치기와 동일 | 정기 1회 |
동기 가지치기(11-3월) | 낙엽수적기, 침엽수수형만들기,일반가지치기,솎음가지 치기, 가지길이 줄이기 등 | 필요시 |
품목 | 식재거리 | ||
---|---|---|---|
500평 이하 | 500평 이상 | ||
매실 | 매실 | 4m*2.5m(3평) | 6m*3m(5평) |
슈퍼청매실 | |||
감 | 감 | 6m*3m(5평) | |
이대감 | |||
대추 | 대추 | 4m*2m(2.5평) | |
왕대추 | |||
호두 | 호두(실생) | 6m*6m(10평) | |
왕호두(접목) | 6m*4(7평) | ||
밤 | 밤 | 6m*3m(5평) | |
자두 | 자두 | 6m*3m(5평) |
품목 | 식재거리 | |
---|---|---|
사과 | m9(극외성) | 4m*2.5m(3평) |
m26(일반외성) | ||
배 | 배 | 6m*1m(3평) 4m*2.5(3평) 6m*3m(5평) |
포도 | 삽목 | 3m*1.5m(2평) |
접목 | 6m*3m(5평) | |
복숭아 | 복숭아 | 6m*3m(5평) |
품목 | 식재거리 | 평당 그루수 |
---|---|---|
가시오가피 | 1.5m*1.5m | 4주 |
구기자 | 1.2m*0.4m | 6주 |
두릅나무 | 2m*1m | 1.5주 |
복분자 | 2m*0.4m | 4주 |
블루베리 | 1.5m*2m | 1주 |
비타민 | 1.8m*1.8m | 1주 |
엄나무 | 2m*1m | 1.5주 |
슈퍼오디 | 3m*1.5m | 1.5주 |
오미자 | 2.4m0.4m | 3주 |
품목 | 식재거리 | 평당 그루수 |
---|---|---|
참옻나무 | 1.5m*1m | 2주 |
헛개나무(가지, 잎) | 2m*1m | 1.5주 |
헛개나무(열매) | 3m*2m | 0.5주 |
참죽나무 | 2m*1m | 1.5주 |
칼슘나무 | 1m*0.5m | 6주 |
산수유 | 1.8m*1.8m | 1주 |
아로니아 | 2m*1.5m | 1주 |
구찌뽕(가지, 잎) | 1.8m*1m | 2주 |
구찌뽕(열매) | 4m*25m | 3평 1주 |
택배배송 상품 주문금액합계 |
3만원 미만 택배비+포장비 부과 |
7,000원 |
3만원 이상~10만원 미만 택배비만 부과 |
5,000원 | |
10만원 이상 | 0원(무료배송) |
접목한 묘목의 경우 접목부위 비닐을 제거하고 일부 뿌리가 너무 긴 경우는 끝쪽을 잘라주어서 식재가 용이하도록 정리한다. 뿌리크기에 맞게 구덩이을 파 놓는다.
묘목을 식재 후 안쪽까지 물이 충분이 들어가서 흙이 가라 앉을 만큼 주어야 한다. 물을 주는 목적도 수분흡수를 위한 목적보다 안쪽의 빈 공간을 없애기 위한 목적이 더 크다. 특히 봄 식재의 경우 이후 비가 오지 않는다면 땅의 상태를 확인하여 최소한 한달동안 일주일에 한번 이상 물을 주어야 활착율을 높일 수 있다. 관수를 잘 하는가가 활착율에 가능 중요하므로 장마시작전까지 관수에 특히 신경을 써야한다.
4월 ~ 9월 | 제초작업, 병충해방제(3~6회 정도) |
---|---|
4월 ~ 6월 | 2회~3회 비료 시비 |
6월 ~ 7월 | 장마철 배수정비 |
12월 ~ 3월 | 유기물 퇴비 살포, 전지작업 |
시기 | 내용 | 비고 |
---|---|---|
춘기 가지치기(4-5월) | 상록수 적기, 화목의 꽃이 진 후 생장억제, 눈따기 ,적심 등 | 정기 1회 |
하기 가지치기(6-8월) | 생육조성, 수형정비, 솎음가지치기, 도장지 제거, 가지길 이 줄이기 등 | 정기 1회 |
추기 가지치기(9-10월) | 상록수-고사지 가지치기, 수형정비낙엽수-동기가지치기와 동일 | 정기 1회 |
동기 가지치기(11-3월) | 낙엽수적기, 침엽수수형만들기,일반가지치기,솎음가지 치기, 가지길이 줄이기 등 | 필요시 |
품목 | 식재거리 | ||
---|---|---|---|
500평 이하 | 500평 이상 | ||
매실 | 매실 | 4m*2.5m(3평) | 6m*3m(5평) |
슈퍼청매실 | |||
감 | 감 | 6m*3m(5평) | |
이대감 | |||
대추 | 대추 | 4m*2m(2.5평) | |
왕대추 | |||
호두 | 호두(실생) | 6m*6m(10평) | |
왕호두(접목) | 6m*4(7평) | ||
밤 | 밤 | 6m*3m(5평) | |
자두 | 자두 | 6m*3m(5평) |
품목 | 식재거리 | |
---|---|---|
사과 | m9(극외성) | 4m*2.5m(3평) |
m26(일반외성) | ||
배 | 배 | 6m*1m(3평) 4m*2.5(3평) 6m*3m(5평) |
포도 | 삽목 | 3m*1.5m(2평) |
접목 | 6m*3m(5평) | |
복숭아 | 복숭아 | 6m*3m(5평) |
품목 | 식재거리 | 평당 그루수 |
---|---|---|
가시오가피 | 1.5m*1.5m | 4주 |
구기자 | 1.2m*0.4m | 6주 |
두릅나무 | 2m*1m | 1.5주 |
복분자 | 2m*0.4m | 4주 |
블루베리 | 1.5m*2m | 1주 |
비타민 | 1.8m*1.8m | 1주 |
엄나무 | 2m*1m | 1.5주 |
슈퍼오디 | 3m*1.5m | 1.5주 |
오미자 | 2.4m0.4m | 3주 |
품목 | 식재거리 | 평당 그루수 |
---|---|---|
참옻나무 | 1.5m*1m | 2주 |
헛개나무(가지, 잎) | 2m*1m | 1.5주 |
헛개나무(열매) | 3m*2m | 0.5주 |
참죽나무 | 2m*1m | 1.5주 |
칼슘나무 | 1m*0.5m | 6주 |
산수유 | 1.8m*1.8m | 1주 |
아로니아 | 2m*1.5m | 1주 |
구찌뽕(가지, 잎) | 1.8m*1m | 2주 |
구찌뽕(열매) | 4m*25m | 3평 1주 |
택배배송 상품 주문금액합계 |
3만원 미만 택배비+포장비 부과 |
7,000원 |
3만원 이상~10만원 미만 택배비만 부과 |
5,000원 | |
10만원 이상 | 0원(무료배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