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명 | 아오리(사과) |
---|---|
과명 | 장미과 |
학명 | Malus pumila var. dulcissima |
특이사항 | * 숙기 : 8월 하순 / 과중 : 250-300g / 당도 : 13.5bx / 저장성: 20일 * 7월경에 일찍 수확하여 풋사과로 많이 유통되고 있다. * 식재거리 : 4m*2.5m(3평당 1주) |
현재페이지에서의 네이버페이구매시 개별상품만 가능합니다.
여러 상품을 네이버페이로 구매하실 경우 선택상품을 장바구니로 옮기신 후 네이버페이를 이용해주세요~
과형은 장원형으로 균일하다.
과피는 담홍색으로 착색된다.
과육은 황백색으로 육질이 치밀하고 과즙이 많다.
산미가 적어 맛이 좋다.
일본 아오모리 사과시험장에서 '골든 딜리셔스'에 '홍옥'을 교배하여 '아오리2호'로 이름 지었다가, 1975년에 '쓰가루'란 이름으로 최종 등록하였다. 교배 당시 라벨을 분실하여 홍옥과 교배한 것임을 알지 못하였으나, 최근 유전자분석을 통해 홍옥임이 밝혀졌다.
우리 나라에는 1973년에 도입하여 1976년에 선발하였으며 '아오리'로 더욱 잘 알려져있다. 꽃피는 시기는 5월 초이며 열매가 익는 시기는 8월 하순~9월 상순경이다. 무게는 150~300g 정도이며 형태는 원형 또는 긴 원형이다. 껍질은 엷은 붉은 빛(담홍색)이다. 속살은 황백색으로 조직이 치밀하고 과즙이 많아 맛이 매우 좋다. 저장기간은 20일 정도이고, 저장 중 열매 표면에서 유질(脂質, 물에 녹지 않는 유연성을 가진 물질)이 나온다. 수확 전에 열매가 가지에서 떨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기온이 높으면 열매 껍질의 색이 고르지 못한 단점이 있다.
빈파(瀕婆)·평과(?果)라고도 한다. 이과(梨果)에 속하며, 지름 5∼10cm정도의 둥근 모양으로 빛깔은 보통 붉거나 노랗다. 원산지는 발칸반도로 알려져 있다.
한국에서는 예로부터 재래종인 능금을 재배하였으며, 고려 의종(1083~1105)때 쓰여진 《계림유사(鷄林類事)》에 '임금'으로 기술되어 있는 것이 최초의 기록이다. '임금'은 '능금'의 어원이며, 조선조시대에 쓰여진 홍만선(洪萬選)의 《산림경제(山林經濟)》에 그 재배법이 실려 있는 것으로 보아, 18세기 초에 재배가 성행한 것을 알 수 있다. 1884년 무렵에는 선교사들이 외국 품종을 들여와 관상수로 심었고, 1901년 윤병수(尹秉秀)가 원산 부근에 과수을 만들어 국광·홍옥 등을 재배하였으며, 1906년 농공상부가 뚝섬에 원예모범장을 설치하여 각 국의 과수 품종을 도입, 품종비교 및 재배시험을 수행하며 과수재배의 기초를 확립하였다. 1958년에는 원예시험장을 설립하여 연구를 본격화하기 시작하였고, 1991년 말, 원예시험장에서 과수연구소를 분리하고 대구사과연구소를 신설하여 사과연구를 전담하도록 하였다.
사과는 수확시기에 따라 조생종, 중생종, 만생종으로 나뉜다. 8월 하순 이전이 최성수확기인 조생종에는 미광, 조홍, 서홍, 쓰가루(아오리) 등이 있고, 최성수확기가 9월 상순에서 10월 중순까지인 중생종에는 홍로, 홍월, 양광, 추광, 골든딜리셔스, 세계일, 조나골드, 시나노스위트 등이 있다. 10월 하순 이후가 최성수확기인 만생종에는 후지(부사), 홍옥, 감홍, 화홍 등이 있다.
알칼리성 식품으로, 칼로리가 적고 몸에 좋은 성분이 많이 들어있다. 식이섬유는 혈관에 쌓이는 유해 콜레스테롤을 몸밖으로 내보내고 유익한 콜레스테롤을 증가시켜 동맥경화를 예방해준다. 또한 칼륨은 몸속의 염분을 배출시켜 고혈압 예방과 치료에 도움을 준다. 수용성 식이섬유인 펙틴 또한 위액의 점도를 높히고 악성 콜레스테롤을 내보내어 급격한 혈압상승을 억제해주며, 페놀산은 체내의 불안정한 유해산소를 무력화시켜 뇌졸중을 예방한다. 사과에 함유된 케세틴은 폐기능을 강하게 하여 담배연기나 오염물질로부터 폐를 보호해준다. 또한 피로물질을 제거해주는 유기산과 피부미용에 좋은 비타민 C도 다량 함유되어 있다. 사과의 과육은 잇몸건강에 좋으며 사과산은 어깨결림을 감소해주는 효과가 있다. 사과로 만든 식초는 화상·두드러기 등을 치료하는 데 쓴다.
날로 먹거나 잼·주스·사이다·술·식초·파이·타트·젤리·무스·셔벗 등을 만들어 먹는다. 유럽에서는 소시지나 고기요리에 튀긴 사과나 사과소스를 쓰고, 카레·스튜를 만들거나 감귤류로 젤리나 무스를 만들 때 사과나 사과즙을 넣어 맛과 향을 돋운다. 깎아서 공기 중에 두면 과육이 갈색으로 변하는데 이를 예방하려면 1ℓ의 물에 1g의 소금을 넣어 만든 소금물에 담그어 둔다.
*사과나무 병충해 방제 *
1. 방해 방제 기술
가. 점무늬 낙엽병
이른 봄에 낙엽을 모아 태우며 여름전정을 통하여 병반이 많은 도장기를 잘라서 없애고 통풍과 투광을 원활히한다.
질소 비료가 과다하여 잎이 연약할 때 발생이 많으므로 과다되지 않도록 한다.
4-5월에는 검은별 무늬병, 붉은별무늬병, 그을음(점무늬)병과 동시 방제하고
6-8월에는 겹무늬썩음병,갈색무늬병과 동시 방제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나. 갈색무늬병
관수 및 배수철저, 균형있는 시비,전정을 통해 수관내 통풍과 통광을 원활히 한다.
병에 걸린 낙엽을 모아 태우거나 땅속 깊이 뭍어 월동전염원을 제거 한다.
약제에 의한 방제는 6월 중순경 (발병초)부터 8월경까지 가능한 강우전에 정기적으로 적용약제를 수관내부까지
골고루 묻도록 충분량을 살포한다.
다. 탄저병
중간기주가 되는 아카시아 나무를 사과원 주변에서 없앤다.
병든 고실은 따내어 땅에 묻고 수세가 강하고 비배관리를 철저히 한다.
주품종인 후지를 대상으로 겹무늬썩음병 갈생무늬병 위주로 병제 할 경우
홍옥이나 홍로와 같이 감수성인 품종에는 별도로 탄저병에 효과가 있는 농약을 살포 해야한다.
과실은 봉지 씌우기를 하면 병원균의 전염이 차단 된다.
라. 겹무늬 썩음병
병원균이 월동처에서 비산된 포자가 과실에 부착하지 못하게 하는 봉지씌우기 재배가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노동력 투하로 인한 생산비 상승이 문제가 된다.
우리나라에서느 봉지씌우기를 6월 상순에서 중순에 걸처 이행하는데 겹무늬썩음병 방제만을 고려한다면
장마가 시작되는 전까지만 봉지를 씌우면 방제에는 큰 문제가 없다.
이 병은 감염 가능기간이 길고 이 기간중 비만 오면 언제든지 대량 감염의 우려가 있으므로 최대 비산 및 감염시기가
가지에 형성된 사마귀 병반 부위를 도포제 혹은 수성페인트로 발라 두면 병원균의 비산방지와 예방에 효과가 있으나
노목의 경우 도포처리의 어려움과 비용 과다로 효과적이지 못하다.
마. 그을음병/그을음무늬병
과수원내 통풍이 나뿐 나무에서 발생이 많으므로 정지전정을 할 때에 가지의 배치를 적절하게 한다.
비가 올때 봉지씌우기 작업은 절대 하지 않도록 하며, 봉지씌우기전에 약제 살포를 하도록 한다.
점무늬낙엽병 및 겹무늬썩음병의 방제를 위해 정기적으로 약제를 살포하면 그을음병과 그을음무늬병?은 동시
방제된다.
방제약제로는 유기유황계 농약이 효과적으로 알려져 있다.
2.해충 방제 기술
가. 사과응애
응애는 건조하고 고온이 지속될 경우 급격히 발생이 증가 한다.
따라서 스프링클러나 점적관수를 적절히 실시하여 사과원 수관내의 온도를 낮추고 습도를
적당히 유지하면 응애발생 정도를 낮출 수가 있다.
착과량이 적당한 나무보다 과도한 나무가 응애 피해에 더욱 취약하므로 적당한 착과량 조절도 중요하다.
또한 극도로 고온,건조하며 바람이 많은 조건에서 나무가 수분 스트레스를 받으면 응애 피해의 영향이
과도하게 나타날수 있다.
나. 점박이응애
점박이 응애의 약제방제 제1차 적기는 사과나무 수관 내부에서 증식한 개체들이 점차 분산을 시작하고
지면 잡초의 먹이 상태가 좋지 않게 되거나 예취를 하여 잡초에서 사과나무로 이동하는 시기이다.
대체로 6월 상순경에 사과나무 잎당 2마리정도 일 때 이다.
그뒤 장마기에도 계속 관찰을 하되 특히 온도 조건이 좋아지는 시기인 7월 상순에 발생 정도를 관찰하여 잎당3-4마리
이상이면 2차 방제를 실시 해야 한다.
그러나 이상고같은 방제적기는 연도 및 사과원에 따라 차이가 있을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관찰을 해서 각자의 상황에 적당한
방제시기를 선정해야 한다.
점박이응애는 약제 저항성 유발이 문제 되므로 계통이 같은 약제를 연속 살포하는것을 금하고, 가급적 천적인 포식성
이리응애에 영향을 주지 않는 약제를 선택해야 한다.
다. 사과혹진디물
연도나 장소에 따라서 정도의 차이가 있으므로 동계에 사과나무 가지의 월동란 밀도를 조사하여 밀도가 높은
경우에는 발아기에 사과응애와 동시 방제한다.
밀도가 낮으 경우에라도 개화전 도는 낙화후에 1회 사과혹진딧물에 효과적인 약제를 살포하는 것이 좋고
그 후에는 일반 나방류 및 조팝나무진딧물과 동시 방제가 된다.
9-10월이 되어도 신초 신장이 계속되면 다음해 발생이 많게 되므로 질소비료를 적당히 주어 수세를 안정 시키는 것이
다음해 봄철 발생을 적게한다.
라.사과굴나방
전년도 가을에 피해가 많았던 경우에 봄에 낙엽을 모아서 소각한다.
제1세대의 집중 가해처가 되는 주간부의 지면에서 나오는 흡지를 제거한다.
사과굴바방 약제 방제는 5월 중순부터 연3회 정도 살충제를 살포하고 있는데 4-5월에는 깡충좀벌등
유력한 천적의 기생율이 높고 피해가 아주 일부에만 국한되므로 이 시기에는 사과굴나방 약제를
살호하지 않는 것이 좋다.
6월이후 성페로몬트랩에 5일에 1,000마리 정도로 유살수가 많고 피해가 자주 눈에 띄는 경우에 삼식충유나
잎말이나방과 동시 방제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마.사과애모무늬잎말이나방
월동유충의 밀도를 잘 관찰하여 발생이 많으면, 월동유충이 꽃눈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는 시기인
발아 10~15일경에 전문약제를 살포한다.
약제방제 적기는 알에서 부화하여 깨어나오는 시기이므로 5월 이후는 성페로몬트랩에 의한 발생예찰을 실시하여 성충발생 최성기 7~10일 후에 약제를 살포한다. 약제살포시는 도장지를 제거하여 약제가 상부와 내부까지 충분히 묻도록 살포한다. 잎말이나방류의 발생밀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신초의 신장을 일찍 멈추게 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적정 질소비료 사용으로 2차 신초 신장을 억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접목한 묘목의 경우 접목부위 비닐을 제거하고 일부 뿌리가 너무 긴 경우는 끝쪽을 잘라주어서 식재가 용이하도록 정리한다. 뿌리크기에 맞게 구덩이을 파 놓는다.
묘목을 식재 후 안쪽까지 물이 충분이 들어가서 흙이 가라 앉을 만큼 주어야 한다. 물을 주는 목적도 수분흡수를 위한 목적보다 안쪽의 빈 공간을 없애기 위한 목적이 더 크다. 특히 봄 식재의 경우 이후 비가 오지 않는다면 땅의 상태를 확인하여 최소한 한달동안 일주일에 한번 이상 물을 주어야 활착율을 높일 수 있다. 관수를 잘 하는가가 활착율에 가능 중요하므로 장마시작전까지 관수에 특히 신경을 써야한다.
4월 ~ 9월 | 제초작업, 병충해방제(3~6회 정도) |
---|---|
4월 ~ 6월 | 2회~3회 비료 시비 |
6월 ~ 7월 | 장마철 배수정비 |
12월 ~ 3월 | 유기물 퇴비 살포, 전지작업 |
시기 | 내용 | 비고 |
---|---|---|
춘기 가지치기(4-5월) | 상록수 적기, 화목의 꽃이 진 후 생장억제, 눈따기 ,적심 등 | 정기 1회 |
하기 가지치기(6-8월) | 생육조성, 수형정비, 솎음가지치기, 도장지 제거, 가지길 이 줄이기 등 | 정기 1회 |
추기 가지치기(9-10월) | 상록수-고사지 가지치기, 수형정비낙엽수-동기가지치기와 동일 | 정기 1회 |
동기 가지치기(11-3월) | 낙엽수적기, 침엽수수형만들기,일반가지치기,솎음가지 치기, 가지길이 줄이기 등 | 필요시 |
품목 | 식재거리 | ||
---|---|---|---|
500평 이하 | 500평 이상 | ||
매실 | 매실 | 4m*2.5m(3평) | 6m*3m(5평) |
슈퍼청매실 | |||
감 | 감 | 6m*3m(5평) | |
이대감 | |||
대추 | 대추 | 4m*2m(2.5평) | |
왕대추 | |||
호두 | 호두(실생) | 6m*6m(10평) | |
왕호두(접목) | 6m*4(7평) | ||
밤 | 밤 | 6m*3m(5평) | |
자두 | 자두 | 6m*3m(5평) |
품목 | 식재거리 | |
---|---|---|
사과 | m9(극외성) | 4m*2.5m(3평) |
m26(일반외성) | ||
배 | 배 | 6m*1m(3평) 4m*2.5(3평) 6m*3m(5평) |
포도 | 삽목 | 3m*1.5m(2평) |
접목 | 6m*3m(5평) | |
복숭아 | 복숭아 | 6m*3m(5평) |
품목 | 식재거리 | 평당 그루수 |
---|---|---|
가시오가피 | 1.5m*1.5m | 4주 |
구기자 | 1.2m*0.4m | 6주 |
두릅나무 | 2m*1m | 1.5주 |
복분자 | 2m*0.4m | 4주 |
블루베리 | 1.5m*2m | 1주 |
비타민 | 1.8m*1.8m | 1주 |
엄나무 | 2m*1m | 1.5주 |
슈퍼오디 | 3m*1.5m | 1.5주 |
오미자 | 2.4m0.4m | 3주 |
품목 | 식재거리 | 평당 그루수 |
---|---|---|
참옻나무 | 1.5m*1m | 2주 |
헛개나무(가지, 잎) | 2m*1m | 1.5주 |
헛개나무(열매) | 3m*2m | 0.5주 |
참죽나무 | 2m*1m | 1.5주 |
칼슘나무 | 1m*0.5m | 6주 |
산수유 | 1.8m*1.8m | 1주 |
아로니아 | 2m*1.5m | 1주 |
구찌뽕(가지, 잎) | 1.8m*1m | 2주 |
구찌뽕(열매) | 4m*25m | 3평 1주 |
택배배송 상품 주문금액합계 |
3만원 미만 택배비+포장비 부과 |
7,000원 |
3만원 이상~10만원 미만 택배비만 부과 |
5,000원 | |
10만원 이상 | 0원(무료배송) |
접목한 묘목의 경우 접목부위 비닐을 제거하고 일부 뿌리가 너무 긴 경우는 끝쪽을 잘라주어서 식재가 용이하도록 정리한다. 뿌리크기에 맞게 구덩이을 파 놓는다.
묘목을 식재 후 안쪽까지 물이 충분이 들어가서 흙이 가라 앉을 만큼 주어야 한다. 물을 주는 목적도 수분흡수를 위한 목적보다 안쪽의 빈 공간을 없애기 위한 목적이 더 크다. 특히 봄 식재의 경우 이후 비가 오지 않는다면 땅의 상태를 확인하여 최소한 한달동안 일주일에 한번 이상 물을 주어야 활착율을 높일 수 있다. 관수를 잘 하는가가 활착율에 가능 중요하므로 장마시작전까지 관수에 특히 신경을 써야한다.
4월 ~ 9월 | 제초작업, 병충해방제(3~6회 정도) |
---|---|
4월 ~ 6월 | 2회~3회 비료 시비 |
6월 ~ 7월 | 장마철 배수정비 |
12월 ~ 3월 | 유기물 퇴비 살포, 전지작업 |
시기 | 내용 | 비고 |
---|---|---|
춘기 가지치기(4-5월) | 상록수 적기, 화목의 꽃이 진 후 생장억제, 눈따기 ,적심 등 | 정기 1회 |
하기 가지치기(6-8월) | 생육조성, 수형정비, 솎음가지치기, 도장지 제거, 가지길 이 줄이기 등 | 정기 1회 |
추기 가지치기(9-10월) | 상록수-고사지 가지치기, 수형정비낙엽수-동기가지치기와 동일 | 정기 1회 |
동기 가지치기(11-3월) | 낙엽수적기, 침엽수수형만들기,일반가지치기,솎음가지 치기, 가지길이 줄이기 등 | 필요시 |
품목 | 식재거리 | ||
---|---|---|---|
500평 이하 | 500평 이상 | ||
매실 | 매실 | 4m*2.5m(3평) | 6m*3m(5평) |
슈퍼청매실 | |||
감 | 감 | 6m*3m(5평) | |
이대감 | |||
대추 | 대추 | 4m*2m(2.5평) | |
왕대추 | |||
호두 | 호두(실생) | 6m*6m(10평) | |
왕호두(접목) | 6m*4(7평) | ||
밤 | 밤 | 6m*3m(5평) | |
자두 | 자두 | 6m*3m(5평) |
품목 | 식재거리 | |
---|---|---|
사과 | m9(극외성) | 4m*2.5m(3평) |
m26(일반외성) | ||
배 | 배 | 6m*1m(3평) 4m*2.5(3평) 6m*3m(5평) |
포도 | 삽목 | 3m*1.5m(2평) |
접목 | 6m*3m(5평) | |
복숭아 | 복숭아 | 6m*3m(5평) |
품목 | 식재거리 | 평당 그루수 |
---|---|---|
가시오가피 | 1.5m*1.5m | 4주 |
구기자 | 1.2m*0.4m | 6주 |
두릅나무 | 2m*1m | 1.5주 |
복분자 | 2m*0.4m | 4주 |
블루베리 | 1.5m*2m | 1주 |
비타민 | 1.8m*1.8m | 1주 |
엄나무 | 2m*1m | 1.5주 |
슈퍼오디 | 3m*1.5m | 1.5주 |
오미자 | 2.4m0.4m | 3주 |
품목 | 식재거리 | 평당 그루수 |
---|---|---|
참옻나무 | 1.5m*1m | 2주 |
헛개나무(가지, 잎) | 2m*1m | 1.5주 |
헛개나무(열매) | 3m*2m | 0.5주 |
참죽나무 | 2m*1m | 1.5주 |
칼슘나무 | 1m*0.5m | 6주 |
산수유 | 1.8m*1.8m | 1주 |
아로니아 | 2m*1.5m | 1주 |
구찌뽕(가지, 잎) | 1.8m*1m | 2주 |
구찌뽕(열매) | 4m*25m | 3평 1주 |
택배배송 상품 주문금액합계 |
3만원 미만 택배비+포장비 부과 |
7,000원 |
3만원 이상~10만원 미만 택배비만 부과 |
5,000원 | |
10만원 이상 | 0원(무료배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