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명 | 벽오동 |
---|---|
과명 | 벽오동과 |
학명 | Firmiana simple |
특이사항 | 벽오동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 높이는 15m에 이르고,수피가 벽색으로 특이하며, 꽃은 6∼7월에 엷은 황색의 꽃을 피운다 중부 이남의 각 지역에 많이 식재되어 있으나 원래는 하와이, 중국, 대만, 인도네시아에 자생하는 수목이다. |
현재페이지에서의 네이버페이구매시 개별상품만 가능합니다.
여러 상품을 네이버페이로 구매하실 경우 선택상품을 장바구니로 옮기신 후 네이버페이를 이용해주세요~
채종 및 저장 : 가을에 익은 열매를 채취하여 열매를 턴 다음 1~2일간 물에 넣은 뒤 종자를 건조하면 발아력을 거의 잃으므로 물기가 어느 정도 빠진 것을 밀봉하거나 모래와 섞어 냉장고에 보존하거나 노천 매장을 한다.
파종 및 옮겨심기 : 저장 종자는 채종 이듬해 3~4월에 파종을 한다. 직파의 경우에는 4월, 봄 파종 시에는 파종 후 5주 후에 발아가 시작된다. 종자가 건조 피해를 입으면 이듬해 발아가 될 수도 있으므로 마르지 않도록 주의한다. 옮겨심기는 이듬해 겨울눈이 활동하기 전에 굴취해서 제곱미터당 5~10본 정도로 한다. 1년째의 옮겨심기를 생략하려면 파종 간격을 20~25cm로 해서 2년째 봄에 옮겨심기를 한다.
종자와 수피를 약용으로 사용한다. 종자는 여름과 가을에 잎은 여름에 채취하여 말려 사용한다.
지방유, 카페인(caffeine), 펜토산(pentosan), 펜토스(pentose), 갈락탄(galactan) 등이 함유되어 있다.
종자(오동자)는 산기, 위통을 치료하고 잎(오동엽)은 류머티즘에 의한 동통, 마비, 고혈압을 치료한다.
나무껍질(梧桐白皮)은 거풍, 진통, 타박상, 월경불순, 생리통, 치통, 탈모증의 치료제로 쓴다.
생나무 껍질을 갈아 으깨어 즙을 낸 후 두피에 바르고 마사지를 하면 좋다.
높이 15m, 직경 40㎝에 이르며, 나무껍질은 벽색으로 특이하다. 잎이 오동나무의 잎과 같게 생겼으나 나무껍질이 초록색으로 다르다 하여 벽오동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현재 중부 이남의 각 지역에 많이 식재되어 있으나 원래는 하와이·중국·대만·인도네시아에 자생하는 수목이다. 내한성이 약하여 서울 이북지역에서는 월동이 불가하며, 서울에서도 어려서는 특별히 보호를 해주어야 피해가 없다.
꽃은 6∼7월에 가지 끝에 원추화서(圓錐花序: 원뿔형의 꽃차례)로 엷은 황색의 꽃을 피운다. 열매는 10월에 익는데 봉선에 따라서 갈라져 마치 돛단배 모양으로 피어 가운데 4, 5개의 콩과 같은 열매를 맺는다.
비교적 조풍(條風: 북동풍)에 강하고 각종 공해에도 견디는 힘이 좋아, 각국에서 가로수·공원수·정원수로 많이 심고 있다. 열매는 볶아서 커피 대용으로 이용하며 여기에서 추출한 기름은 식용유로도 사용한다.
번식은 가을에 익은 종자를 채종하여 노천매장하였다가 이듬해에 파종한다. 한방에서는 종자를 소화불량·위통·구내염·내산(內疝) 등에 치료제로 사용한다. 벽오동은 예전부터 봉황이 깃들이는 곳이라 믿어 왔다.
경상남도 함안은 한때 가야국의 진관지(鎭管地)였던 곳으로 정구(鄭逑)가 벽오동과 대나무 숲을 만든 바 있다. 그 이유는 함안의 뒷산은 풍수에 의하면 비봉형(飛鳳形)이므로 당시 군재(郡宰)였던 정구가 땅을 모아 봉란(鳳卵)을 만들고 동북방에 벽오동 천 그루를 심고 대숲을 조성하여 비봉이 영구히 그곳에 머물게 하려던 것으로, 봉황과 벽오동의 관계에 관한 우리 선조들의 사고를 잘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1. 생약명 : 오동자(梧桐子)
2. 사용부위 : 종자와 수피를 약용으로 사용한다.
3. 채취와 조제 : 종자는 여름과 가을에 잎은 여름에 채취하여 말려 사용한다.
4. 성분 : 지방유, 카페인(caffeine), 펜토산(pentosan), 펜토스(pentose), 갈락탄(galactan) 등이 함유되어 있다.
5. 약효
ㆍ 종자(오동자)는 산기, 위통을 치료하고 잎(오동엽)은 류머티즘에 의한 동통, 마비, 고혈압을 치료한다.
ㆍ 나무껍질(梧桐白皮)은 거풍, 진통, 타박상, 월경불순, 생리통, 치통, 탈모증의 치료제로 쓴다.
6. 용법 : 생나무 껍질을 갈아 으깨어 즙을 낸 후 두피에 바르고 마사지를 하면 좋다.
접목한 묘목의 경우 접목부위 비닐을 제거하고 일부 뿌리가 너무 긴 경우는 끝쪽을 잘라주어서 식재가 용이하도록 정리한다. 뿌리크기에 맞게 구덩이을 파 놓는다.
묘목을 식재 후 안쪽까지 물이 충분이 들어가서 흙이 가라 앉을 만큼 주어야 한다. 물을 주는 목적도 수분흡수를 위한 목적보다 안쪽의 빈 공간을 없애기 위한 목적이 더 크다. 특히 봄 식재의 경우 이후 비가 오지 않는다면 땅의 상태를 확인하여 최소한 한달동안 일주일에 한번 이상 물을 주어야 활착율을 높일 수 있다. 관수를 잘 하는가가 활착율에 가능 중요하므로 장마시작전까지 관수에 특히 신경을 써야한다.
4월 ~ 9월 | 제초작업, 병충해방제(3~6회 정도) |
---|---|
4월 ~ 6월 | 2회~3회 비료 시비 |
6월 ~ 7월 | 장마철 배수정비 |
12월 ~ 3월 | 유기물 퇴비 살포, 전지작업 |
시기 | 내용 | 비고 |
---|---|---|
춘기 가지치기(4-5월) | 상록수 적기, 화목의 꽃이 진 후 생장억제, 눈따기 ,적심 등 | 정기 1회 |
하기 가지치기(6-8월) | 생육조성, 수형정비, 솎음가지치기, 도장지 제거, 가지길 이 줄이기 등 | 정기 1회 |
추기 가지치기(9-10월) | 상록수-고사지 가지치기, 수형정비낙엽수-동기가지치기와 동일 | 정기 1회 |
동기 가지치기(11-3월) | 낙엽수적기, 침엽수수형만들기,일반가지치기,솎음가지 치기, 가지길이 줄이기 등 | 필요시 |
품목 | 식재거리 | ||
---|---|---|---|
500평 이하 | 500평 이상 | ||
매실 | 매실 | 4m*2.5m(3평) | 6m*3m(5평) |
슈퍼청매실 | |||
감 | 감 | 6m*3m(5평) | |
이대감 | |||
대추 | 대추 | 4m*2m(2.5평) | |
왕대추 | |||
호두 | 호두(실생) | 6m*6m(10평) | |
왕호두(접목) | 6m*4(7평) | ||
밤 | 밤 | 6m*3m(5평) | |
자두 | 자두 | 6m*3m(5평) |
품목 | 식재거리 | |
---|---|---|
사과 | m9(극외성) | 4m*2.5m(3평) |
m26(일반외성) | ||
배 | 배 | 6m*1m(3평) 4m*2.5(3평) 6m*3m(5평) |
포도 | 삽목 | 3m*1.5m(2평) |
접목 | 6m*3m(5평) | |
복숭아 | 복숭아 | 6m*3m(5평) |
품목 | 식재거리 | 평당 그루수 |
---|---|---|
가시오가피 | 1.5m*1.5m | 4주 |
구기자 | 1.2m*0.4m | 6주 |
두릅나무 | 2m*1m | 1.5주 |
복분자 | 2m*0.4m | 4주 |
블루베리 | 1.5m*2m | 1주 |
비타민 | 1.8m*1.8m | 1주 |
엄나무 | 2m*1m | 1.5주 |
슈퍼오디 | 3m*1.5m | 1.5주 |
오미자 | 2.4m0.4m | 3주 |
품목 | 식재거리 | 평당 그루수 |
---|---|---|
참옻나무 | 1.5m*1m | 2주 |
헛개나무(가지, 잎) | 2m*1m | 1.5주 |
헛개나무(열매) | 3m*2m | 0.5주 |
참죽나무 | 2m*1m | 1.5주 |
칼슘나무 | 1m*0.5m | 6주 |
산수유 | 1.8m*1.8m | 1주 |
아로니아 | 2m*1.5m | 1주 |
구찌뽕(가지, 잎) | 1.8m*1m | 2주 |
구찌뽕(열매) | 4m*25m | 3평 1주 |
택배배송 상품 주문금액합계 |
3만원 미만 택배비+포장비 부과 |
7,000원 |
3만원 이상~10만원 미만 택배비만 부과 |
5,000원 | |
10만원 이상 | 0원(무료배송) |
접목한 묘목의 경우 접목부위 비닐을 제거하고 일부 뿌리가 너무 긴 경우는 끝쪽을 잘라주어서 식재가 용이하도록 정리한다. 뿌리크기에 맞게 구덩이을 파 놓는다.
묘목을 식재 후 안쪽까지 물이 충분이 들어가서 흙이 가라 앉을 만큼 주어야 한다. 물을 주는 목적도 수분흡수를 위한 목적보다 안쪽의 빈 공간을 없애기 위한 목적이 더 크다. 특히 봄 식재의 경우 이후 비가 오지 않는다면 땅의 상태를 확인하여 최소한 한달동안 일주일에 한번 이상 물을 주어야 활착율을 높일 수 있다. 관수를 잘 하는가가 활착율에 가능 중요하므로 장마시작전까지 관수에 특히 신경을 써야한다.
4월 ~ 9월 | 제초작업, 병충해방제(3~6회 정도) |
---|---|
4월 ~ 6월 | 2회~3회 비료 시비 |
6월 ~ 7월 | 장마철 배수정비 |
12월 ~ 3월 | 유기물 퇴비 살포, 전지작업 |
시기 | 내용 | 비고 |
---|---|---|
춘기 가지치기(4-5월) | 상록수 적기, 화목의 꽃이 진 후 생장억제, 눈따기 ,적심 등 | 정기 1회 |
하기 가지치기(6-8월) | 생육조성, 수형정비, 솎음가지치기, 도장지 제거, 가지길 이 줄이기 등 | 정기 1회 |
추기 가지치기(9-10월) | 상록수-고사지 가지치기, 수형정비낙엽수-동기가지치기와 동일 | 정기 1회 |
동기 가지치기(11-3월) | 낙엽수적기, 침엽수수형만들기,일반가지치기,솎음가지 치기, 가지길이 줄이기 등 | 필요시 |
품목 | 식재거리 | ||
---|---|---|---|
500평 이하 | 500평 이상 | ||
매실 | 매실 | 4m*2.5m(3평) | 6m*3m(5평) |
슈퍼청매실 | |||
감 | 감 | 6m*3m(5평) | |
이대감 | |||
대추 | 대추 | 4m*2m(2.5평) | |
왕대추 | |||
호두 | 호두(실생) | 6m*6m(10평) | |
왕호두(접목) | 6m*4(7평) | ||
밤 | 밤 | 6m*3m(5평) | |
자두 | 자두 | 6m*3m(5평) |
품목 | 식재거리 | |
---|---|---|
사과 | m9(극외성) | 4m*2.5m(3평) |
m26(일반외성) | ||
배 | 배 | 6m*1m(3평) 4m*2.5(3평) 6m*3m(5평) |
포도 | 삽목 | 3m*1.5m(2평) |
접목 | 6m*3m(5평) | |
복숭아 | 복숭아 | 6m*3m(5평) |
품목 | 식재거리 | 평당 그루수 |
---|---|---|
가시오가피 | 1.5m*1.5m | 4주 |
구기자 | 1.2m*0.4m | 6주 |
두릅나무 | 2m*1m | 1.5주 |
복분자 | 2m*0.4m | 4주 |
블루베리 | 1.5m*2m | 1주 |
비타민 | 1.8m*1.8m | 1주 |
엄나무 | 2m*1m | 1.5주 |
슈퍼오디 | 3m*1.5m | 1.5주 |
오미자 | 2.4m0.4m | 3주 |
품목 | 식재거리 | 평당 그루수 |
---|---|---|
참옻나무 | 1.5m*1m | 2주 |
헛개나무(가지, 잎) | 2m*1m | 1.5주 |
헛개나무(열매) | 3m*2m | 0.5주 |
참죽나무 | 2m*1m | 1.5주 |
칼슘나무 | 1m*0.5m | 6주 |
산수유 | 1.8m*1.8m | 1주 |
아로니아 | 2m*1.5m | 1주 |
구찌뽕(가지, 잎) | 1.8m*1m | 2주 |
구찌뽕(열매) | 4m*25m | 3평 1주 |
택배배송 상품 주문금액합계 |
3만원 미만 택배비+포장비 부과 |
7,000원 |
3만원 이상~10만원 미만 택배비만 부과 |
5,000원 | |
10만원 이상 | 0원(무료배송) |